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정보

반려동물 동반 가능! 청년안심주택 1,485세대 공급 단지·자격 요약

by 김도현복지톡톡 2025. 4. 14.

시작하며

올해 첫 청년안심주택 공공임대 모집 공고가 발표되면서, 서울시 거주 청년층과 신혼부부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이번 2025년 1차 모집에서는 총 1,485세대가 공급되고, 반려동물 동반 입주 허용, 서울 전역 초역세권 입지, 신축 풀옵션 주택 등 그야말로 실질적인 조건들이 마련됐다. 평소 주거비 부담이 컸던 청년층에게 이번 공고는 매우 반가운 소식일 수밖에 없다.

 

1. 공급 규모와 핵심 특징 요약

이번 청년안심주택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청년과 신혼부부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 공급 세대수는 다음과 같다.

공급 유형 세대수
신규 공급 1,356세대
재공급 등 잔여분 129세대
총계 1,485세대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다.

  • 서울 전역 신청 가능 (지역 제한 없음)
  • 초역세권 신축 단지 다수 포함
  • 풀옵션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등 기본 제공)
  • 일부 단지 반려동물 동반 가능
  • 신청 대상은 미혼 청년, 예비 신혼부부, 한부모 가구 등 다양

 

2. 실제 공급 단지 정리

공급되는 단지는 총 14곳으로, 서울 각 지역에 분산돼 있다. 아래는 실제 단지명과 위치, 주요 특징을 정리한 표이다.

단지명 위치 주요 특징
도곡 더써밋타워 강남구 도곡동 양재역 도보 3분, 신혼부부형 포함
광운대역 다움하우스 노원구 월계동 광운대역 도보 1분, 청년형 공급
용산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 용산구 갈월동 남영역 초근접, 고급 브랜드
어반허브 서울스테이션 용산구 서계동 서울역 도보 10분, 고지대 뷰 가능
메트로움 지밸리 퍼스트 관악구 신림동 디지털단지역 인접, 풀옵션
세이지움 상봉 중랑구 상봉동 338세대 대규모, 상봉역 도보권
상봉동 100일원 청년안심주택 중랑구 상봉동 커뮤니티 시설 우수, 옥상정원 포함
에드가 개봉 구로구 개봉동 개봉역 도보권, 신혼부부형 있음
에드가 휘경 동대문구 휘경동 회기역 근접, 다양한 평형 구성
에드가 상계 노원구 상계동 수락산역 인접, 5분 내 접근
장안동 418-1 청년안심주택 동대문구 장안동 장한평역 인접, 청년형 위주
라봄 성동 성동구 마장동 마장역 도보 4분, 브랜드 단지
도무스 서초 서초구 서초동 교대역 도보 13초, 초역세권
백악관타워 광진구 중곡동 아차산역 인접, 조망 우수

 

3. 주요 단지별 구조와 임대 조건 비교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세대를 공급하는 대표 단지 3곳을 중심으로 구조와 조건을 비교해봤다.

세이지움 상봉 (중랑구)

  • 청년형 23타입: 전형적인 원룸 구조, 338세대
  • 신혼형 39타입: 투룸, 드레스룸·팬트리 포함
  • 신혼형 48타입: 넓은 투룸, 동일 구조 더 넓은 평형
타입 구조 임대료 (최저~최고)
23타입 원룸 6만원 ~ 22만원
39타입 투룸 21만원 ~ 24만원
48타입 투룸 (넓음) 12만원 ~ 20만원

상봉동 100 일원

  • 청년형 34타입: 넓은 1.5룸 구조, 남향 위주
  • 신혼형 36타입: 구조는 동일하지만 북향 중심
타입 구조 임대료 (최저~최고)
34타입 1.5룸 9만원 ~ 15만원
36타입 1.5룸 9만원 ~ 16만원

어반허브 서울스테이션

  • 청년형 21a타입: 원룸, 팬트리 포함
  • 신혼형 37타입: 1.5룸, 시스템 에어컨 2대, 북박이장 포함
타입 구조 임대료 (최저~최고)
21a타입 원룸 7만원 ~ 12만원
37타입 1.5룸 13만원 ~ 18만원

 

4. 셰어형 주택 구성과 신청 방식

이번 공고에는 일반형과 더불어 셰어형 주택도 포함되어 있다. 셰어형은 개별 방은 독립적으로 사용하고, 거실·주방·화장실 등 공용 공간을 함께 쓰는 구조다. 다소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나, 임대료가 낮고 경쟁률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 순위나 점수 조건이 불리한 신청자에게 대안이 될 수 있다.

신청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뉜다.

  • 팀 단위 신청: 형제자매나 지인과 함께 지원 (동성만 가능)
  • 개별 신청: 혼자 지원하고 랜덤으로 룸메이트 배정

공급 유형별 구분

유형 신청 가능 대상 비고
남성만 신청 가능 개별 신청용
여성만 신청 가능 개별 신청용
동성 2인 1조 지인, 형제자매 가능

경쟁률이 높지 않아 순위가 낮거나 배점이 부족한 신청자에게는 실질적인 기회가 될 수 있다.

 

5. 신청 자격 요건 정리

신청 대상은 ‘청년’과 ‘신혼부부’로 나뉘며, 각각 소득과 자산 기준이 다르다. 신청 전 해당 조건을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청년형 신청 조건

  •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 미혼 상태
  • 직업 여부 관계없이 대학생·취준생 가능
  • 무주택자
순위 조건 월 소득 기준 총자산 차량가액
1순위 수급자·한부모 등 무관 무관 무관
2순위 본인 + 부모 기준 431만원 이하 3억3,700만원 이하 3,803만원 이하
3순위 본인 기준 431만원 이하 2억5,400만원 이하 3,803만원 이하

※ 청약통장은 납입 금액보다 횟수가 중요

신혼부부형 신청 조건

  • 결혼 7년 이내 혹은 예비 신혼부부
  • 혼인가구, 유자녀 가구, 한부모 가정 포함
유형 외벌이 소득 맞벌이 소득 자산 최대 거주기간
1형 438만원 이하 547만원 이하 3억3,700만원 최대 20년
2형 766만원 이하 1,050만원 이하 3억5,400만원 최대 14년

※ 1형은 임대료가 더 저렴하고, 거주 기간도 길다

 

6. 입주자 선정 방식과 공급 일정

입주자 선정은 순위, 총점, 우선순위, 추첨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선정 방식 요약

  1. 순위 조건 충족 확인
  2. 10점 만점 기준 배점 산정
  3. 동점자 발생 시 높은 항목 점수 우선
  4. 동순위 내 추첨

공급 일정

일정 항목 날짜
접수 시작 2025년 4월 21일
당첨자 발표 2025년 8월 29일
입주 개시 2025년 10월 13일 (연휴 직후)

신청 방법

  • 인터넷 또는 모바일로 접수 가능
  • 별도 비용 없음
  • 당첨 시 장기 거주 가능 (최대 20년)

 

마치며

이번 2025년 1차 청년안심주택은 단순히 물량이 많은 것뿐만 아니라, 서울 주요 권역에 위치한 신축 단지에서 실거주 목적에 최적화된 설계를 갖췄다는 점이 돋보인다. 특히 청년층에게는 원룸 이상의 평형이, 신혼부부에게는 투룸 중심의 실용적인 구조가 준비돼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 나이나 순위, 소득 기준 등으로 인해 그동안 공공임대를 포기했던 사람들에게도 실제 기회가 열릴 수 있는 시점이다. 각자의 조건에 맞는 단지를 빠르게 파악해, 접수 시기를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