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정보

남양주복합청사 행복주택 예비입주자 모집, 무순위 추첨 방식으로 신청 가능

by 김도현복지톡톡 2025. 4. 2.

시작하며

이번 공고는 무순위 추천 방식으로 가정 걱정 없이 신청할 수 있는 임대 주택입니다. 거주지에 제한도 없어서 타 지역 거주자도 신청할 수 있어요. 다만 계층별로 신청하고 동일 계층 내에서 경쟁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오늘의 임대 주택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남양주 복합청사 행복 주택 예비 입주자 모집 공고입니다. 이 공고의 주요 특징을 먼저 소개해 드릴게요. 주택 유형은 행복주택으로 학교가 가깝고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곳에 지어진 임대 주택인데, 계층에 따라 최장 10년에서 20년간 거주할 수 있습니다. 공급 면적은 소형 면적인 16형, 26형, 36형으로 구분되며, 임대료가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특징이 있습니다. 참고로 공고문은 LH가 아닌 마이홈포 또는 주택 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셔야 하니 이 점 유의해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공급 대상자는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주거급여 수급자만 신청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혼자 거주하는 40대, 50대 분들이나 신혼 부부가 아닌 중년층에서 신청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대신 비슷한 시기에 국민 임대주택이 전국 다양한 지역에서 공고되고 있으니, 거주 지역에 국민임대주택 공고가 나왔는지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그럼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아볼게요. 금회 공급되는 임대주택은 나라키움 남양주 복합청사 행복주택으로 남양주시 다산동에 위치합니다. 최초 입주 시기는 2023년으로 신축 건물입니다. 지도에서 보면 이곳에 위치하고 있는데요, 한 정거장만 거리에 경의중앙선 도농역이 있습니다. 경의중앙선은 양평에서 파주까지 서울을 관통하는 선으로 다양한 지역으로 이동이 가능하고요. 이렇게 구리역 환승하면 송파, 우래, 성남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녀가 있는 분들에게도 좋은 곳입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모두 도보권에 있고, 임대주택 바로 앞에 문화공원, 중앙공원 등 산책로도 잘 조성되어 있는 장점도 있어요. 외관은 이렇게 생겼는데요, 물론 복합 청사가 바로 보이고 있는데 안쪽으로 이동하면 실제 거주하실 임대 주택이 나옵니다.

 

임대 조건

임대 조건은 면적별, 대상자별로 다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모집 인원은 대학생 두 명, 청년 일곱 명, 주거급여 수급자 두 명, 고령자 두 명, 신혼부부 다섯 명으로 소규모 모집 공고입니다.

  • 16형 임대료: 대학생은 보증금 2,800만 원에 월세 15만 원, 청년은 보증금 3,000만 원에 월세 16만 원이며, 소득이 없는 측면은 대학생과 같은 임대 조건이 적용됩니다.
  • 주거급여 수급자: 보증금 2,500만 원에 월세 13만 원으로 동일 면적 중 가장 저렴한 임대료가 적용됩니다.
  • 고령자: 26형 공급되며 보증금은 5,000만 원에 월세가 26만 원입니다.
  • 36형 임대료: 신혼 부부를 위해 공급되며 보증금 7,200만 원에 월세 38만 원 정도입니다.

상호 전환이 불가해서 해당 표에 나온 임대료로 거주해야 하는 단점도 있으니 이 점 유의해서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평면도를 잠깐 살펴보면 16형과 26형은 모두 원룸 구조인데요, 16형은 주방과 침실이 구분되지 않는 소형 원룸 구조이며, 26형은 어느 정도 공간 구분이 가능한 원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6형은 알파 룸이라고 작은 방 하나가 더 제공되는 크기입니다.

 

신청 자격

대상자별 기본 자격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대학생은 대학생 또는 취업 준비생에게 해당되며, 청년 계층은 만 39세 이하의 청년 또는 사회 초년생이 해당됩니다. 신혼부부 계층은 혼인 기간이 7년 이내 또는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사람, 고령자는 65세 이상의 고령자, 주거급여 수급자는 수급권자 또는 수급자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계층별 거주 기간은 청년, 대학생,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는 최대 10년, 자녀가 있는 신혼 부부는 14년, 고령자와 주거급여 수급자는 최대 20년간 거주할 수 있습니다.

각 계층별 세부 조건을 살펴보면, 대학생 계층은 미혼이면 본인만 무주택자면 되며, 부모님이 주택을 보유해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소득은 본인과 부모님의 소득 합계가 월평균 소득 100% 이하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부모님 두 분을 포함한 사인 가족이라면 총소득이 762만 원 이하, 편부모 가정인 경우 소득 602만 원 이하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자산은 본인의 자산만 적용되며, 총자산이 1억 4,000만 원 이하여야 하고 차량을 보유하지 않아야 합니다. 입주자 선정은 순위와 가점 없이 추첨으로 이루어집니다.

청년 계층 역시 미혼이면 본인만 무주택자면 됩니다. 소득 기준은 세대원이 단독 세대주인 경우 월소득 431만 원 이하여야 하고요, 세대원이 있는 세대주인 경우 세대원을 포함하여 가구원 수별 소득 기준이 적용됩니다. 2인 가구라면 소득 602만 원 이하, 3인 가구는 762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자산 기준은 2억 5,400만 원 이하, 차량 가액 3,803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역시 무순위 추천 방식으로 입주자를 선정합니다.

다음은 신혼부부 계층입니다. 무주택세대 구성원으로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2인 가구는 소득 602만 원 이하, 맞벌이 2인 가구는 합산 소득 7,712만 원 이하이어야 하고, 3인 가구라면 소득 762만 원 이하, 맞벌이 3인 가구는 915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총 자산 가액은 3억 3,700만 원 이하, 차량 가액이 3,804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고령자 계층 역시 무주택세대 구성원이어야 하며, 소득 100% 이하, 총 자산 3억 4,500만 원 이하, 차량 가액 3,803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주거급여 대상자는 소득과 자산에 신경 쓸 필요 없이 무주택세대 구성원이면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 일정

신청 방법은 우편 현장 접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기간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현장 접수는 고령자, 장애인 등에 한하여 현장 접수가 가능하며, 4월 3일 단 하루, 목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시나라 키움 남양주 복합 청사 관리 사무소로 모든 서류를 구비하여 방문하셔야 합니다. 우편 접수는 3월 31일부터 4월 4일까지 등기 우편으로 필요 서류를 모두 제출해 주시면 되며, 신청과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을 때는 031-545-2539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당첨자 발표는 6월 17일 화요일에 발표될 예정이며, 주택 관리공단 홈페이지 또는 031-545-2539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출 서류 안내

기본적으로 신분증과 신청서가 필요하고, 신청서는 홈페이지에서 공고문과 함께 첨부되어 있습니다. 추가 서류로 등본, 초본, 가족관계 증명서가 필요할 수 있으며, 예비 입주자 중복선정 불가 사항 확인서, 자산보유 사실 확인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금융정보 동의서 등 해당자에 한하여 제출해야 하는 계층별 입증 서류까지 함께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오늘은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공급하는 나라키움 복합청사 행복주택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LH가 아닌 주택 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공고문과 신청 문의가 가능한 특징이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