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정보

북한이탈주민 의료비 지원 총정리, 건강한 정착을 위한 제도 안내ㅣ2025년 북한이탈주민 의료비 지원 대상·내용·신청방법 한눈에 보기

by 김도현복지톡톡 2025. 3. 7.

시작하며

북한이탈주민들이 안정적으로 남한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중요한 사회적 과제입니다. 특히 이들이 겪을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의료 지원은 필수적입니다.

정부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건강 회복과 자립을 돕기 위해 의료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이를 통해 건강한 사회 적응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의료비 지원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지원 대상 및 선정 기준

북한이탈주민 의료비 지원은 소득과 질환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 지원 대상: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의 북한이탈주민이며, 민간 보험에 가입한 경우는 제외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소득 기준을 따로 적용하지 않고, 해당 기준에 맞는 가구구성으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 취업특례가구: 거주지 보호기간 5년 이내에 중위소득 160% 이하로 적용됩니다.

 

2. 지원 내용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의료비 지원은 다양한 질환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 일반 질환

  • 연 2회, 본인 부담금의 100%를 지원하며, 연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동일한 한도 내에서 연 2회 지원을 받습니다.

📌 만성 중증 희귀 난치성 질환

  • 지원 횟수에 제한은 없으며, 본인 부담금의 100%를 지원합니다.
  • 연 최대 800만원까지 지원되며, 일반 질환과 합산하여 지원됩니다.

📌 장기 이식

  • 생애 1회 지원되며, 본인 부담금의 100%가 지원됩니다.
  • 최대 지원금액은 1,000만원입니다.
  • 다만, 이식 검사료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 치과 틀니 및 임플란트

  • 틀니는 상악 및 하악에 대해 생애 1회 지원되며,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 임플란트는 생애 누적 최대 200만원 이내로 지원되며, 신청 횟수와 개수에 제한은 없습니다.

 

3. 신청 방법 및 절차

북한이탈주민 의료비 지원을 신청하려면 남북하나재단을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병원 내 의료사회복지사를 통해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원 절차는 서비스 신청 후 대상자 조사 및 심사를 거쳐, 의료비 지원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4. 문의처 및 추가 정보 확인 방법

📌 의료비 지원 관련 문의처

  •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02-3215-5764)
  • 남북하나재단 콜센터 (1577-6635)
  • 통일부 정착지원과 (02-2100-5925)

또한, 관련된 정보는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홈페이지(https://www.koreahana.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특히 의료비 지원은 이들이 건강하게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의료비 지원 프로그램이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정적인 정착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