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론
1. 기초연금: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지원
기초연금은 고령층의 생활 안정을 위해 마련된 제도로, 매달 안정적인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번 12월 24일 확정된 기초연금 지급 조건과 절차를 상세히 알아보자.
- 대상 조건 기초연금의 대상은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사람이다. 소득과 재산이 고려되는데, 소득인정액이 기준액 이하인 경우에만 지급 대상에 포함된다.
- 단독가구 기준: 소득인정액 213만 원 이하
- 부부가구 기준: 소득인정액 340만 8천 원 이하
소득인정액은 단순히 급여뿐만 아니라 재산, 금융자산 등을 소득으로 환산하여 평가한 금액이다. 여기에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일반재산, 금융재산 등이 포함되며, 실질적인 생활 수준을 반영한 결과로 판단한다.
- 지급 금액 기초연금은 단독가구와 부부가구의 지급 금액이 다르다.
- 단독가구: 월 33만 4천 원
- 부부가구: 월 53만 4천 원 (20% 삭감 금액)
부부가구는 함께 연금을 받을 때 기본 금액에서 일부가 삭감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삭감된 금액이라고 해도 월별로 안정적인 금액을 꾸준히 지급받는 점은 노후 생활에 큰 도움이 된다.
- 신청 방법 기초연금은 자동으로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신청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신청은 세 가지 방법으로 가능하다.
① 주민센터 방문 신청: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의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
② 국민연금공단 지사 신청: 가까운 공단 지사 방문
③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간편 신청
2. 부모급여: 모든 부모를 위한 포괄적인 지원
부모급여는 영유아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아이와 부모 모두의 생활을 돕기 위해 새롭게 마련된 제도다.
- 지원 대상
부모급여의 가장 큰 특징은 소득과 재산에 관계없이 모든 부모에게 지원된다는 점이다.
- 대상: 만 0세에서 만 1세까지의 아동
- 지급 금액
아동의 연령에 따라 매달 지급 금액이 다르다.
- 만 0세: 월 100만 원
- 만 1세: 월 50만 원
최대 185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부모급여는 매달 25일, 부모의 계좌로 현금이 입금된다.
- 신청 방법
부모급여 신청 방법은 두 가지다.
① 주민센터 방문 신청: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고 신청 가능
② 정부24 온라인 신청: 별도의 방문 없이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
3. 기초연금과 부모급여, 함께 받을 수 있는 경우
특히 만 65세 이상 노인 부부가 손주를 키우고 있는 경우라면, 기초연금과 부모급여를 동시에 받을 수 있다. 두 제도의 대상 조건은 상이하므로 소득인정액 조건만 충족한다면 큰 제한 없이 신청 가능하다.
① 노인 부부가구: 기초연금 최대 53만 4천 원
② 손주 양육 부모급여: 손주 나이에 따라 최대 100만 원
이처럼 중복 혜택이 가능한 경우는 드물지만, 가족 구성원의 연령과 소득 조건에 따라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4. 신청 전에 꼭 확인해야 할 점
기초연금과 부모급여는 각각 다른 기준과 절차를 요구하므로 아래 사항을 확인하자.
- 기초연금
- 본인의 소득인정액을 정확히 확인
- 주민등록 주소지를 기준으로 신청 서류 준비
- 부모급여
- 아동의 출생 신고 여부 확인
- 온라인 신청 시 제출 서류를 사전에 스캔하여 준비
- 공통 사항
- 반드시 신청해야만 지급되므로 신청을 놓치지 말 것
- 지급일을 기준으로 가구원의 소득 및 자산 상태를 정리
정부 지원 제도는 본인이 직접 챙기지 않으면 혜택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신청이 복잡해 보이더라도 주민센터나 관련 기관의 도움을 받으면 큰 어려움 없이 신청할 수 있다.
https://youtu.be/PfXaOVzuUto?si=adTaoVpZ4fWB4gjN
이와 같은 정보는 많은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만큼, 자격 조건과 신청 방법을 꼼꼼히 확인하고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준비하자. 😊